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 해결: 2025년 기준 최신 가이드
Docker는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잡았습니다. 특히 컨테이너 기반의 개발, 테스트, 배포 환경을 구축할 때 Docker를 활용하면 다양한 운영체제와 인프라 환경에서 일관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많은 개발자분들이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로 인해 작업이 중단되는 경험을 하곤 하십니다. 이 오류는 2025년 현재까지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원인과 해결책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의 근본적인 원인부터 최신 운영체제별 구체적인 해결 방법, 그리고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관리 팁까지 최대한 상세하게 안내해드리겠습니다.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란?
먼저, Docker의 구조를 간략히 설명드리면, Docker는 크게 클라이언트(docker 명령어를 입력하는 환경)와 데몬(서버 역할을 하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으로 나뉩니다. 이때 Docker daemon은 시스템에서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면서 컨테이너의 생성, 실행, 중지, 삭제 등 모든 작업을 관장합니다.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는 이 데몬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대표적인 에러입니다. 주로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Docker daemon is not running”, “Error response from daemon: dial unix /var/run/docker.sock: connect: no such file or directory” 등 다양한 형태로 출력됩니다. 이러한 오류 메시지를 마주쳤다면, 우선 Docker daemon이 정상적으로 실행 중인지 확인하는 것이 첫 번째 단계입니다.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의 주요 원인
2025년 최신 데이터와 커뮤니티 리포트를 참고하면,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1. Docker 서비스 미실행 또는 비정상 종료
- 2. 시스템 리소스 부족 (메모리, CPU, 디스크)
- 3. /var/run/docker.sock 파일 권한 이상 또는 삭제
- 4. Docker 설치 불완전 및 손상
- 5. 운영체제별(Windows, macOS, Linux) 특화된 이슈
- 6. WSL2, Hyper-V 등 가상화 환경 설정 오류(Windows 환경)
- 7. 방화벽, 보안 소프트웨어에 의한 프로세스 차단
이러한 원인에 따라 해결 방법도 다르므로, 각 원인에 맞는 진단 및 조치가 중요합니다.
운영체제별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 점검 및 해결 방법
1. Linux (Ubuntu, CentOS, Debian 등) 환경
대부분의 서버 환경이나 개발 환경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Linux입니다. Linux에서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가 발생했을 때, 아래와 같이 점검하실 수 있습니다.
-
Docker 서비스 상태 확인 및 재시작
가장 먼저 아래 명령어로 Docker 서비스 상태를 확인합니다.sudo systemctl status docker만약 “inactive” 혹은 “failed” 상태라면, 서비스를 재시작합니다.
sudo systemctl restart docker이후 다시 상태를 확인하여 “active (running)” 상태가 되는지 점검합니다. 만약 재시작이 되지 않는다면, 로그를 상세히 확인해봐야 합니다.
sudo journalctl -u docker로그에서 구체적인 에러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종종 “out of memory”, “disk full”, “permission denied”와 같은 메시지가 함께 출력됩니다. 이들 메시지에 따라 추가 조치가 필요합니다.
-
리소스 부족 점검
2025년 기준, Docker는 최소 2GB 이상의 RAM과 2GB 이상의 디스크 여유 공간을 추천합니다. 아래 명령어로 시스템 리소스 상태를 확인하세요.free -h df -h메모리나 디스크가 부족하다면, 불필요한 프로세스 종료 혹은 디스크 정리로 리소스를 확보해야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docker.sock 파일 권한 문제
Docker daemon은 /var/run/docker.sock 소켓 파일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통신합니다. 이 파일의 권한이 잘못되면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ls -l /var/run/docker.sock일반적으로 root:docker 권한이 정상입니다. 만약 권한이 다르거나 파일이 없으면, 아래 명령어로 권한을 수정하거나 Docker를 재시작하여 파일이 생성되게 합니다.
sudo chown root:docker /var/run/docker.sock sudo chmod 660 /var/run/docker.sock sudo systemctl restart docker권한 수정을 했음에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시스템 재부팅을 시도해보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
설치 손상 및 재설치
정상적이지 않은 설치, OS 업그레이드 후 의존성 충돌 등으로 인해 Docker 자체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아래 명령어로 Docker를 완전히 제거한 후, 공식 가이드에 따라 재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sudo apt-get remove --purge docker-ce docker-ce-cli containerd.io docker-buildx-plugin docker-compose-plugin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docker-ce docker-ce-cli containerd.io docker-buildx-plugin docker-compose-plugin설치 후에는 반드시 Docker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Linux 환경에서는 위와 같은 점검 및 복구 절차를 통해 대부분의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2. Windows 환경 (Docker Desktop, WSL2 기반)
2025년 현재 Windows에서 Docker를 사용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Docker Desktop을 사용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WSL2 기반의 Docker 엔진을 직접 구동하는 방식입니다. 각각의 환경에서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Docker Desktop 상태 확인
Docker Desktop이 실행되고 있는지, 트레이 아이콘에서 “Docker is running” 상태인지 확인하세요. 만약 실행 중이 아니라면, Docker Desktop을 수동으로 시작해야 합니다. 자주 발생하는 문제는 Windows 부팅 시 Docker Desktop이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거나, 가상화 설정이 비활성화된 경우입니다. -
WSL2 및 Hyper-V 가상화 설정
Docker Desktop은 WSL2 또는 Hyper-V를 필요로 합니다. 아래 명령어로 WSL2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wsl --list --verbose“STATE”가 Running으로 표시되어야 합니다. 만약 비활성화되어 있다면, Windows 기능에서 WSL2와 Hyper-V를 활성화하세요. 제어판 > 프로그램 > 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서 해당 항목을 체크합니다.
-
방화벽 및 백신 소프트웨어 점검
Windows Defender, Ahnlab V3 등 일부 백신 소프트웨어가 Docker daemon의 네트워크 통신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임시로 백신을 비활성화하거나 Docker Desktop을 신뢰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등록한 뒤,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가 해결되는지 확인하세요. -
WSL2 환경에서 Docker 재시작
WSL2 기반에서 Docker를 실행 중이라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WSL2 인스턴스를 재시작하세요.wsl --shutdown그리고 Docker Desktop을 다시 실행하면, 내부적으로 WSL2 VM이 재부팅되며 Docker daemon이 정상 실행됩니다.
-
Docker Desktop 재설치 및 로그 확인
Docker Desktop의 문제일 경우, 완전히 제거 후 최신 버전(2025년 최신 릴리즈)으로 재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Troubleshoot” 메뉴에서 “Get support”를 클릭하면 상세 로그를 확인할 수 있고, 공식 포럼이나 깃허브 이슈에서 비슷한 사례를 검색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Windows 환경에서는 위와 같은 절차를 통해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를 신속하게 진단하고 복구할 수 있습니다.
3. macOS 환경
Mac에서는 Docker Desktop을 주로 사용합니다.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아래와 같이 점검해보세요.
-
Docker Desktop 실행 상태 확인
트레이바 혹은 애플리케이션 폴더에서 Docker 아이콘이 “Docker Desktop is running”으로 표시되는지 확인하세요. 만약 실행 중이 아니라면, 수동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줍니다. -
리소스 할당 설정
Docker Desktop > Preferences > Resources에서 CPU, RAM, 디스크 할당량을 점검하세요. 2025년 기준 Docker 공식 권장 사양은 RAM 4GB 이상, CPU 2코어 이상입니다. 할당량이 너무 낮으면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가상화 활성화 여부
Apple Silicon(M1, M2, M3) 기반의 Mac은 하드웨어 가상화 지원이 필수입니다. 시스템 환경설정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FileVault 및 가상화 설정을 점검하세요. -
로그 및 진단 데이터 확인
Docker Desktop > Troubleshoot > Diagnose & Feedback을 실행하면 상세 진단 로그를 볼 수 있습니다. 에러 메시지에서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또는 “Docker daemon not running”이 반복된다면, 로그 내용을 바탕으로 추가 조치가 필요합니다. -
재설치 및 시스템 재부팅
모든 조치를 취해도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완전히 삭제 후 공식 홈페이지에서 최신 버전을 설치하세요. 그리고 Mac을 재부팅해 최적의 환경에서 다시 시도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처럼 macOS에서도 단계별 점검을 통해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 예방 및 관리 팁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는 발생 후 복구도 중요하지만, 사전 예방이 더욱 중요합니다. 2025년 현재 기준으로,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예방 및 관리 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기적으로 Docker, OS 및 관련 패키지를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하세요.
- 리소스(메모리, 디스크, CPU) 모니터링 도구를 활용하여, Docker가 동작하는 환경을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하세요.
- Docker Compose, Docker Swarm, Kubernetes 등 오케스트레이션 도구와 연계할 경우, 데몬의 가용성(High Availability) 설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세요.
- 중요한 서비스라면 Docker 데몬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문제가 발생할 경우 자동 복구(시스템 재시작, 데몬 재시작 등)가 이루어지도록 스크립트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공식 Docker 문서(https://docs.docker.com/)와 커뮤니티 포럼(https://forums.docker.com/)을 활용하여, 새로운 이슈에 신속히 대응하세요.
이러한 예방책을 실천하면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로 인한 서비스 장애나 개발 환경 중단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실무에서 자주 묻는 Q&A로 보는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
아래는 2025년 기준 실무에서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입니다.
| 질문 | 답변 |
|---|---|
| Q1.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가 반복적으로 발생합니다. 근본적인 해결책은 무엇인가요? | 가장 먼저 시스템 리소스(메모리, 디스크) 부족, Docker 버전 호환성, OS 커널 업데이트 유무, docker.sock 파일 권한을 점검하세요. 반복적으로 발생한다면, 시스템 로그와 Docker 로그를 자세히 분석해 근본 원인을 찾아야 하며, 필요하다면 Docker와 OS 모두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 Q2. WSL2 환경에서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오류가 발생합니다. | WSL2 인스턴스가 중단되었거나, Docker Desktop이 WSL2와 연동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wsl –shutdown 후 Docker Desktop을 재실행하세요. 그래도 해결되지 않으면, WSL2와 Hyper-V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Docker Desktop을 재설치해보세요. |
| Q3. Docker를 재설치해도 데몬이 실행되지 않습니다. | 설치된 Docker 버전이 OS 버전과 호환되는지, 의존성 패키지(containerd, runc 등)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세요. 모든 패키지를 완전히 제거한 후, 공식 가이드에 따라 깨끗하게 재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
| Q4.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가 서비스 장애로 이어집니다. 모니터링 방법이 궁금합니다. | Prometheus, Grafana, ELK Stack 등 모니터링 도구와 연동해 Docker 데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습니다. systemd 서비스와 연계하여, 데몬이 중단되면 자동 재시작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
이렇게 자주 묻는 질문을 참고하시면,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 상황에서 보다 신속한 대응이 가능합니다.
최신 트렌드: Docker daemonless, Rootless 모드
2025년 세계적으로 Docker의 보안성과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daemonless container runtime”과 “rootless Docker”가 점차 확산되고 있습니다. daemonless는 데몬 프로세스 없이 컨테이너를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기술로, Podman, containerd, nerdctl 등이 대표적입니다. Rootless Docker는 데몬이 루트 권한이 아닌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동작해, 보안 위험을 최소화합니다. 앞으로는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되지만, 기존 환경에서는 여전히 본 글에서 안내한 점검 및 복구 절차가 유효하다는 점을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마무리하며: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로부터 자유로워지기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는 많은 개발자와 IT 관리자가 한 번쯤은 겪는 문제입니다. 2025년 현재까지도 Linux, Windows, macOS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시스템 리소스 부족, 권한 오류, 가상화 설정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 안내해드린 단계별 점검 및 복구 방법을 실천하신다면,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를 신속하게 해결하고 안정적인 개발 및 운영 환경을 구축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공식 문서와 커뮤니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최신 기술 동향까지 꾸준히 학습하는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Docker daemon not running 오류와 같은 장애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본 글이 도움이 되셨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