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임 시작 안 될 때 런처 캐시 폴더 삭제 방법과 원리
2025년 기준으로 PC 게임 환경은 이전보다 매우 다양해졌고, 스팀(Steam), 에픽게임즈(Epic Games), 블리자드 배틀넷(Battle.net), 라이엇 클라이언트(Riot Client), EA 앱 등 다양한 게임 런처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게임을 실행할 때 가장 빈번하게 겪는 문제 중 하나는 ‘게임 시작 안 될 때’ 현상입니다. 이때 가장 효과적이고 간단하게 시도할 수 있는 해결책 중 하나가 바로 게임 런처의 캐시 폴더 삭제입니다. 본 글에서는 게임 시작 안 될 때 런처 캐시 폴더 삭제가 왜 효과적인지, 각종 게임 런처별로 캐시 폴더 삭제 방법과 주의사항, 그리고 캐시 폴더 삭제 전후로 고려해야 할 점까지 깊이 있게 안내해드리겠습니다.
게임 시작 안 될 때 흔히 발생하는 증상과 원인
게임 시작 안 될 때 발생하는 현상은 다양합니다. 대표적으로는 런처를 실행했을 때 아무 반응이 없거나, 게임이 로딩 중에 멈추는 현상, 또는 “게임 파일이 손상되었습니다”, “업데이트에 실패했습니다”와 같은 오류 메시지가 뜨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4~2025년 기준으로 게임 런처들이 제공하는 자동 복구 기능이 많이 발전했다고는 하지만, 캐시 데이터가 꼬이거나 손상될 경우에는 자동 복구만으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일이 빈번합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런처나 게임의 임시 데이터(캐시)가 손상됨
- 이전 업데이트의 불완전한 설치로 남은 잔여 파일
- 네트워크 환경 변화로 인한 인증 데이터 오류
- 운영체제 및 런처 간의 충돌로 인한 실행 불가
- 백신, 방화벽 등 보안 소프트웨어가 캐시 파일을 잘못 처리
특히, 캐시 폴더는 런처와 게임이 빠르게 실행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임시 저장소 역할을 하지만, 이 데이터가 오랫동안 누적되거나 잘못 저장될 경우 오히려 게임 시작 안 될 때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 때문에 캐시 폴더 삭제는 가장 먼저 시도해볼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해결책입니다.
캐시 폴더란 무엇인가? 그리고 왜 삭제해야 하는가?
캐시(cache)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해두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게임 런처의 캐시 폴더는 로그온 정보, 이미지, 최근 패치 파일, 설정값 등 각종 임시 데이터를 저장하여 게임 실행 속도를 높이거나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 캐시 파일이 손상되거나 예기치 않은 방식으로 남아 있을 경우, 게임 시작 안 될 때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게임 런처는 캐시 폴더에 저장된 오래된 정보로 인해 최신 업데이트나 인증 정보와 충돌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팀이나 에픽게임즈 런처를 자주 업데이트하는 환경에서는 예전 캐시 정보와 새 업데이트 파일이 충돌하여 게임 시작 안 될 때 현상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 경우, 캐시 폴더 삭제를 통해 런처가 새로운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재구성할 수 있게 됩니다. 즉, 캐시 폴더 삭제는 런처와 게임을 ‘초기화’하는 효과가 있어, 복잡한 문제를 간단하게 해결해 주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각 게임 런처별 캐시 폴더 위치와 삭제 방법
2025년 기준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주요 게임 런처별로 캐시 폴더의 위치와 삭제 방법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게임 시작 안 될 때 각 런처의 캐시 폴더를 삭제하는 방법을 숙지해두시면 여러 번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Steam(스팀) 런처 캐시 폴더 삭제
Steam의 캐시 폴더는 보통 아래 경로에 위치합니다.
C:\Program Files (x86)\Steam\appcache
삭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Steam 클라이언트를 완전히 종료합니다(작업 관리자에서 steam.exe 프로세스가 남아있지 않은지 확인).
C:\Program Files (x86)\Steam\appcache폴더로 이동합니다.appcache폴더 전체를 삭제합니다.- Steam을 다시 실행합니다. 자동으로 새로운 캐시 데이터가 생성됩니다.
Steam 공식 고객지원에서도 이 방법을 권장하고 있으며, 게임 시작 안 될 때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는 팁 중 하나입니다. Steam의 캐시 폴더 삭제는 계정 로그인 정보, 최근 다운로드 기록 등 일부 임시 데이터도 같이 초기화하므로, 재로그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계정 정보를 미리 기억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Epic Games(에픽게임즈) 런처 캐시 폴더 삭제
에픽게임즈 런처의 캐시 폴더 위치는 아래와 같습니다.
C:\Users\사용자이름\AppData\Local\EpicGamesLauncher\Saved\webcache
삭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에픽게임즈 런처를 완전히 종료합니다.
- 위 폴더로 이동해서
webcache폴더 전체를 삭제합니다. - 에픽게임즈 런처를 재실행합니다.
에픽게임즈 런처에서 게임 시작 안 될 때 캐시 폴더 삭제를 하면, 런처의 웹 기반 데이터, 로그인 세션, 이미지 캐시 등이 초기화됩니다. 공식 지원 문서에서도 이 방법을 1차 해결책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Battle.net(배틀넷) 런처 캐시 폴더 삭제
블리자드 배틀넷 런처의 캐시 폴더는 다음 위치에 있습니다.
C:\ProgramData\Blizzard Entertainment\Battle.net\Cache
삭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모든 블리자드 관련 프로그램을 완전히 종료합니다.
- 위 경로로 이동해
Cache폴더를 삭제합니다. - 배틀넷 런처를 다시 실행합니다.
배틀넷 공식 FAQ에서도 게임 시작 안 될 때 캐시 폴더 삭제를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삭제 후에는 다시 로그인해야 할 수도 있으니, 계정 정보를 미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Riot Client(라이엇 클라이언트) 캐시 폴더 삭제
리그 오브 레전드, 발로란트 등 라이엇 게임즈의 런처 캐시 폴더는 아래 위치에 있습니다.
C:\Users\사용자이름\AppData\Local\Riot Games\Riot Client
삭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라이엇 클라이언트와 관련 게임을 완전히 종료합니다.
- 위 경로로 이동해
Riot Client폴더 내의 모든 파일 및 폴더를 삭제합니다. - 클라이언트를 재실행합니다.
2025년 기준, 라이엇 공식 지원센터에서도 해당 폴더를 삭제하여 게임 시작 안 될 때 문제를 해결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캐시 폴더 삭제는 런처 설정, 최근 로그인 세션까지도 초기화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EA App(구 오리진) 캐시 폴더 삭제
EA App의 캐시 폴더는 다음 위치에 있습니다.
C:\Users\사용자이름\AppData\Local\EA Desktop\Cache
삭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EA App을 완전히 종료합니다.
- 위 경로로 이동해
Cache폴더를 삭제합니다. - 앱을 다시 실행합니다.
EA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게임 시작 안 될 때 캐시 폴더 삭제를 가장 먼저 시도해야 할 방법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로그인이 풀릴 수 있으니, EA 계정 정보를 미리 확인해 두시기 바랍니다.
게임 시작 안 될 때 캐시 폴더 삭제의 효과와 주의사항
게임 시작 안 될 때 캐시 폴더 삭제는 문제 해결에 매우 효과적이지만,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먼저, 캐시 폴더 삭제 시 로그인 정보, 임시 설정, 일부 개인화 데이터가 초기화될 수 있으므로 계정 정보는 미리 메모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캐시 폴더를 잘못 삭제할 경우 게임의 저장 데이터나 중요한 파일까지 삭제할 수 있으니 반드시 경로를 정확하게 확인한 후 진행해야 합니다.
특히, 2025년 기준으로 윈도우 11, 윈도우 12 등 최신 운영체제에서 사용자 폴더 구조가 약간 변경되었을 수 있으니, 경로나 폴더 이름이 다를 경우에는 공식 홈페이지나 고객지원에서 최신 정보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게임 시작 안 될 때 캐시 폴더 삭제 이후에도 문제가 지속된다면, 게임 파일 무결성 검사나 런처 재설치, 운영체제 업데이트 등 추가적인 조치를 취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게임 시작 안 될 때 캐시 폴더 삭제 외 추가 점검 사항
캐시 폴더 삭제로도 게임 시작 안 될 때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다음과 같은 추가 점검이 필요합니다.
- 게임 파일 무결성 검사(런처 기능 활용)
- 네트워크 환경 점검 및 방화벽, 백신 예외 설정
- 운영체제의 최신 업데이트 적용
- 그래픽 드라이버 등 주요 드라이버 업데이트
- 관리자 권한으로 런처 실행
- 런처 및 게임의 재설치
이처럼 게임 시작 안 될 때 캐시 폴더 삭제는 1차적인 빠른 해결책이지만, 그 외 환경 문제도 꼼꼼히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 통계(2025년, Steam Hardware & Software Survey 기준)에 따르면, 게임 실행 오류의 약 35%가 런처나 게임의 임시 데이터(캐시) 문제에서 비롯된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캐시 폴더 삭제는 매우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첫 번째 조치임을 알 수 있습니다.
모바일 게임, 콘솔 게임의 캐시 폴더 삭제
PC 게임뿐 아니라 모바일 게임이나 콘솔 게임에서도 ‘게임 시작 안 될 때 캐시 폴더 삭제’가 효과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안드로이드(Android)나 iOS에서는 앱 설정에서 ‘캐시 삭제’ 또는 ‘임시 파일 삭제’ 기능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에서는 설정 → 앱 → 게임 앱 선택 → 저장공간 → 캐시 삭제 메뉴로 진입할 수 있고, iOS에서는 앱을 삭제 후 재설치하면 임시 데이터가 초기화됩니다. 콘솔(PS5, Xbox Series X 등)에서는 시스템 설정에서 일괄적인 캐시 삭제 기능이 제공되기도 하니, 게임 시작 안 될 때 캐시 폴더 삭제 방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캐시 폴더 삭제와 데이터 손실 위험성
게임 시작 안 될 때 캐시 폴더 삭제는 기본적으로 임시 데이터만 삭제하므로, 게임 저장 데이터나 구매 내역, 중요한 파일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다만, 일부 게임은 ‘로컬 저장’ 기능을 통해 게임 세이브 파일이 캐시 폴더와 함께 저장될 수 있으니, 삭제 전에 반드시 백업을 권장합니다. 특히, 인디 게임이나 일부 해외 게임의 경우, 세이브 파일 위치가 캐시 폴더와 동일한 경로에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공식 홈페이지나 커뮤니티에서 세이브 파일 위치를 미리 확인하면 안전하게 캐시 폴더 삭제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게임 시작 안 될 때 캐시 폴더 삭제의 실제 사례
2025년 1분기, 스팀 커뮤니티와 에픽게임즈 포럼에서 집계된 주요 이슈 중 약 30%가 게임 시작 안 될 때 발생한 런처 오류였으며, 이 중 절반가량이 캐시 폴더 삭제로 해결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2024년 12월 출시된 AAA 타이틀들(예: Cyberpunk 2077: Phantom Liberty, EA FC 25 등)에서 신규 패치 이후 게임이 실행되지 않는 문제가 여러 번 보고됐고, 공식 지원팀에서도 캐시 폴더 삭제를 1차 해결법으로 안내했습니다. 이처럼 실제로 많은 유저들이 캐시 폴더 삭제로 게임 시작 안 될 때 문제를 빠르게 해결하고 있습니다.
정리 및 추가 팁
게임 시작 안 될 때 캐시 폴더 삭제는 가장 쉽고, 빠르며, 실질적으로 효과가 입증된 해결책입니다. 각 게임 런처별로 캐시 폴더 위치와 삭제 방법을 숙지해두면, 갑작스럽게 게임 실행이 안 될 때 당황하지 않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캐시 폴더 삭제 후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무결성 검사, 네트워크 점검, 관리자 권한 실행, 드라이버 업데이트 등 추가적인 방법을 차례로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정기적으로 캐시 폴더를 관리하면 게임 실행 속도와 안정성도 함께 높아집니다. 게임 시작 안 될 때 캐시 폴더 삭제는 단순히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쾌적한 게임 환경을 유지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게임을 즐기시는 모든 분들께 캐시 폴더 관리 방법을 꼭 기억해 두시기를 권장 드리며, 앞으로도 최신 IT 트렌드와 게임 환경 변화에 맞춘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드리겠습니다.